버마암살폭파사건 暗殺爆破事件 버마 아웅산폭발사건 버마 아웅산 테러 합동국민장 발생·시작 일시 1983년 10월 9일 관련 장소 미얀마 양곤 관련인물·단체 전두환, 강민철, 진모 정의 버마(현재의 미얀마)의 수도 랭군(현재의 양곤)의 아웅산 묘소에서 한국 대통령을 암살하려는 북한 공작원에 의해 저질러진 폭파사건.
내용
1983년 10월 9일에 발생했으며, 이 사고로 대통령 공식 수행원과 수행 보도진 17명이 사망하고, 10여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또한 현장에 있던 미얀마인 3명도 사망하였다. 사고 당시 전두환(全斗煥) 대통령은 묘소에 도착하기 전이어서 위기를 모면했다.
아웅산 테러사건 희생자
희생된 17명의 명단은 아래와 같다.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서석준(徐錫俊), 외무부 장관 이범석(李範錫), 상공부 장관 김동휘(金東輝), 동자부장관 서상철(徐相喆), 대통령 비서실장 함병춘(咸秉春), 민주정의당 총재 비서실장 심상우(沈相宇), 청와대 경제수석 비서관 김재익(金在益), 재무부 차관 이기욱(李基旭), 주 버마 대사 이계철(李啓哲), 해외협력위원회 기획단장 하동선(河東善), 대통령 주치의 민병석(閔炳奭), 농수산부 차관 강인희(姜仁熙), 과학기술처 차관 김용한(金容澣), 청와대 공보비서관 이재관(李載寬) 등의 공식 수행원이 희생되었다.
그리고 동아일보 기자 이중현(李重鉉), 경호원 한경희, 정태진 등도 사망하였다.
부상자는 합참의장 이기백(李基百), 공보비서관 최재욱(崔在旭), 외무부 의전국장 최상덕(崔尙德), 한국일보 기자 윤국병(尹國炳), 중앙일보 기자 송진혁(宋鎭赫), 동아일보 기자 최규철(崔圭徹), 연합통신 기자 김기성(金基成), 코리아헤랄드 기자 김기석(金基石), 연합통신 사진부장 최금영(崔琴煐), 문화공보부 직원 임삼택(林三澤)·김상영(金相榮), 경호원 김상태 등이었다.
당시 전두환 대통령은 서남아시아 및 대양주 6개국을 순방중이었으며, 첫 방문지에서의 이 같은 사건에 따라 나머지 순방 일정을 취소하고 급히 귀국하였다. 귀국 즉시 열린 비상 국무회의에서는 비상경계태세를 결정했으며 10월 13일 희생된 17위에 대한 국민장 거행 후 연일 벌어진 북한만행 규탄대회를 고비로 대북 보복론까지 대두되었다.
그러나 10월 20일 대통령 특별담화를 통한 대북한 경고와 더불어 자제론이 천명됨으로써 고조되었던 남북한간의 위기국면은 진정되었다. 한편, 미얀마 정부는 사건 발생 즉시 5인 특별조사위원회를 만들고 암살범 추적 수사에 총력을 기울여 10월 11일과 12일 사이에 북한에서 온 강민철과 진 모 등 2명을 체포하고 1명을 사살하였다.
뒤이어 미얀마 정부는 외무장관을 진사조문사절로 파한 했으며, 10월 17일 이 사건이 북한의 특수공작원에 의해 저질러진 것임을 공식 발표하고, 11월 4일 북한에 대한 외교단절 및 정권 승인 취소 조처를 취하였다.
이 조처에 따라 미얀마 주재 북한공관원들이 이틀 뒤 미얀마를 떠났으며, 다음날인 11월 7일 일본 정부가 대북한 제재 조처를 취했으며 잇따라 미국 등 우방국들의 대북한 제재 조처가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이 암살사건과 무관함을 강변했으나 11월 22일 미얀마 검찰당국에 체포된 범인들이 죄상을 밝힘으로써 북한에서 전 대통령과 수행원들을 살해하기 위해 인민군 장교들로 구성된 암살단을 애국 동건호에 탑승, 밀파했다는 사건 전모가 공개되었다.
그 뒤 12월 9일 랭군지구 인민법원 제8 특별재판부에서 두 테러범에 대해 사형선고가 내려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북한은 국제여론의 비난 속에 제3세계의 지지기반이 동요되었으며, 우리나라는 남남협력(南南協力)을 내세운 제3세계와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장악하는 진척을 보게 되었다. 이후 2007년 4월에 이르러서야 북한과 미얀마의 국교가 재개되었다.
전두환 대통령 기다리고 있었는데 아웅산 폭탄 테러'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가 8일 '피의 일요일, 아웅산 폭탄 테러'를 조명한다.
대한민국은 물론 세계 역사상 유래를 찾기 힘든 테러사건이 벌어지기 28분 전 이야기가 시작된다.
1983년 10월9일, 미얀마의 수도 양곤의 한 호텔 로비에 한국의 부총리, 장관, 차관 등 대한민국 핵심 각료들이 속속 등장한다. 이들은 전두환 대통령의 '서남아-대양주 6개국 순방'의 공식 수행원들이었고, 미얀마는 17박 18일 일정의 첫 방문국이었다.
이날 일정은 미얀마의 '독립 영웅' 아웅산 장군이 묻혀있는 아웅산 묘소를 참배하는 것이었다. 묘소에 도착한 수행원들은 불과 몇 초 후 벌어질 참극을 알지 못한 채, 전두환 대통령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잠시 후 지축을 흔드는 폭발음이 울려 퍼진다.
엄청난 폭발의 순간이 당시 순방에 동행한 이재은 기자의 카메라에 생생하게 담겼다. 폭발 직후, 현장은 화약 냄새가 진동했고 묘소에 도열해있던 수행원들은 처참한 모습으로 쓰러져 있었다. 그날 그곳은 비명과 신음소리로 가득한 아비규환 그 자체였다.
사망자 17명, 부상자 14명. 한 나라의 핵심각료를 몰살시킨 테러범은 누구일까. 테러 직후 용의자들이 검거된다. 테러범은 3인조. 1명은 검거 과정에서 사살되고 2명은 생포된다. 그런데 며칠 후 미얀마 경찰의 중간수사결과 발표는 충격적이었다.
아웅산 테러 사건 범인
"아웅산 묘소 폭발사건을 저지른 범인들은 코리안이다." 범인이 바로 한국인이라는 것. 미얀마 수사당국은 '한국의 자작극'을 의심하며 구체적 근거까지 제시한다. 현지에 파견된 한국 조사단은 어렵사리 범인을 면담한다.
"내 이름은 강민철, 28살이다. 나는 서울대생이다." 확신에 찬 강렬한 눈빛의 테러리스트 강민철, 그는 누구일까.
'꼬꼬무'에서는 테러 직후 공포의 순간들과 테러리스트의 최후까지 우리가 알지 못했던 '아웅산 폭탄 테러사건'의 생생한 그날 이야기를 들려준다.
평소 '꼬꼬무'의 광팬이라는 배우 박하선이 바쁜 스케줄을 쪼개 방문했다. 그는 솔직한 리액션과 살아있는 표정으로 새로운 리액션 퀸의 자리에 올랐다. SNS를 통해 영화 같은 일상을 공유하고 있는 배우 윤승아가 오랜만에 카메라 앞에 섰고, '꼬꼬무' 제4의 멤버인 단골손님 모델 주우재는 역대급 스케일의 이야기에 이번에도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버마(미얀마)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과 테러범 북한공작원 강민철 꼬꼬무 2 다음 주 예고
버마(미얀마)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과 테러리스트 강민철(강영철)에 대해 '꼬꼬무2'에서 다룬다.
1일 방송된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는 필리핀 연쇄 납치사건에 대해 이야기했다. 방송 말미 다음 주 '아웅산 폭탄 테러'를 예고했다.
이 사고로 대통령 공식 수행원과 수행 보도진 17명이 사망하고, 10여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 당시 전두환 전 대통령은 묘소에 도착하기 전이어서 위기를 모면했다.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은 1983년 10월 9일 버마(현재의 미얀마)의 수도 랭군(현재의 양곤)의 아웅산 묘소에서 한국의 전두환 대통령을 암살하려는 북한 공작원에 의해 저질러진 폭파사건이다.
다음 주 '꼬꼬무 2'에서는 처참한 그날의 현장 사진을 공개하며 출연진은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충격적인 사건"이라며 "지금부터 테러범의 정체를 찾아갈 것이다"라고 예고했다.
한편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매주 목요일 오후 10시 30분 SBS에서 방송된다.
댓글